심석현 목사(샬롬교회 담임)
[본문:요한복음 3:22~36]
예수님은 니고데모와의 대화를 통해서 영생을 얻는 것이 무엇인지를 말씀하시고 공적인 사역을 세례 베푸시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때 아직까지 세례 요한도 세례를 베풀고 있었다. 많은 사람들이 예수님에게로 옮겨가는 것을 보고서 세례 요한의 제자 중 한 사람이 불평 섞인 이야기를 한다. 아마도 이 제자는 예수님이 당신에게 세례를 받은 사람인데, 그 인기가 모두 그에게 가니까 그것을 좀 막아달라고 하는 의미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보인다. 그에 대해서 세례 요한은 “만일 하늘에서 주신 바 아니면 사람이 아무 것도 받을 수 없느니라 내가 말하는 바 나는 그리스도가 아니요 그의 앞에 보내심을 받은 자라고 한 것을 증언할 자는 너희니라”고 말한다. 그는 자신의 한계점 곧 메시야의 앞길을 예비하는 자라는 것을 분명하게 인식하고 있고, 자신 보다 더 흥하게 되는 분이 바로 메시야임을 또한 알았다. 그는 예수님의 사역의 흥왕에 대해서 ‘신랑의 음성을 듣는 자가 기쁜 것처럼, 나는 이러한 기쁨을 충만하다고 말한다. 예수님이 흥해야 하고 자신은 쇠하여야 한다는 것을 또한 말한다. 세례 요한은 주님 앞에서 자신의 사명과 자신의 자리를 분명하게 알았다.
31절~36절은 세례 요한의 예수님에 대한 반응에 대해서 사도 요한의 코멘트이다. 세례 요한에게 증거받은 분이 누구인가에 대하여 이야기한다. 그는 만 물 위에 계시고 친히 보고 들은 것을 증언하신다. ‘하나님이 보내신 이는 하나님의 말씀을 하나니 이는 하나님의 성령을 한량없이 주심이니라’고 말한다. 즉, 세례 요한을 통해서 증거받은 그분이 하나님의 보내심을 받은 분이요, 하나님의 말씀을 하시는 분이라는 사실을 증거한다. 요한은 계속해서, ‘아들을 믿는 자에게는 여생이 있고 아들에게 순종하지 아니하는 자는 영생을 보지 못하고 도리어 하나님의 진노가 그 위에 머물러 있느니라’고 말한다.
오늘 본문은 세례 요한의 사명과 자세를 생각해보도록 한다. 많은 이들은 자신의 역할과 한계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다. 그로 인해서 생기는 많은 문제들이 있다. 오늘날 우리는 세례 요한의 영성 곧 자신의 역할과 한계를 분명하게 인식하는 영성이 필요하다. 우리는 누군가 잘 되는 것을 보면 시기와 질투로 끌어내는 데 열을 올리는 문화 속에서 살고 있다. 세례 요한은 이러한 우리 시대정신에게 참된 지도자의 모습 곧 자신의 역할과 한계를 분명히 알고 그에 맞는 자리에 있는 삶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