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정섭 집사(한포사전 저자)
◎ 전국적이거나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유행하는 전염병을 pandemia(판데미아)라고 합니다. 이는 ‘모든(pan) 사람들, 민중들(dem)’이란 어원을 갖습니다. 유사개념으로 ‘민중들(dem) 사이에(epi)’라는 어원의 epidemia(전염병, 유행병)도 요즘 전세계를 긴장시키고 있는 코로나 바이러스(corona vírus) 같은 급속히 멀리 퍼지는 전염병을 일컫습니다. 지금까지 대표적인 pandemia나 epidemia는 중세 유럽 전역을 휩쓸고 당시 유럽 인구의 3분의 1을 희생시켰던 흑사병(페스트;peste)으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epidemiar(병균을 옮기다, 전염시키다), epidemicidade(전염성, 유행성), epidemiologia(전염병학), epidemiólogo, epidemiologista(전염병학자, 의사).
다른 사람들과 ‘함께(con) 한 후 접촉(tag, tam)에 의한’ 개념인 contágio, contaminação(접촉 감염, 전염, 오염). ‘몸 안(in)에 영향을(fect) 미치다’ 개념으로 주로 공기에 의한 감염인 infecção(감염, 전염, 오염, 악영향), contagiar, contaminar(접촉 감염되다), infecionar(주로 공기로 전염되다), ar contaminado(공기오염, 대기오염), contaminação do mar(해양오염). ‘역병을 면하다’라는 개념의 im(m)unidade, imunição(면역, 면제, 면책)은 내 몸의 면역항체(imunizadora)가 역병(비루스, 병원체, 병독) 등과 ‘섞이거나 교환(mun) 되지 않는다(im=não)’는 개념입니다. Vacina(백신, 왁찐, 예방접종, 우두:암소(vaca)의 천연두 예방에서 유래). Quarentena(검역, 검역소, 격리) 이는 40일간(quaren + ten)이란 의미로, 유럽에서 흑사병이 창궐하던 시절 흑사병에 걸린 나라들의 배들을 40일 동안 항구 밖에서 대기 정박시켰던 이탈리아 베니스(베네치아)의 관습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의심환자(paciente suspeito) 잠복기(período latente) 격리병동(quarto de isolação), 방역(prevenção de epidemia).
◎ parasita(기생충) 이는 ‘음식이나 양분(sita)의 옆, 주변(para)에 있는 것’이란 개념으로 ‘기생충, 기식자, 식객, 겨우살이, 어릿광대, 아첨꾼’ 등의 뜻입니다. 오스카상(o prêmio Oscar, prêmio:제일의, 최우수의).
문의:(11)97119-14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