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바울입니다 Eu sou Paulo)1-1. 나는 유대인입니다(EU SOU JUDEU)
2025/06/12 21:53 입력  |  조회수 : 789
트위터로 기사전송 페이스북으로 기사전송 구글+로 기사전송 밴드공유 C로그로 기사전송

심석현목사(샬롬교회).jpg

심석현 목사(주안애교회 담임, 생명수선교회 대표)

 

 나는 태어나보니 유대인이었습니다. 내가 태어난 고향은 다소라고 하는 곳으로 유대인 이민자들의 정착촌이었습니다. 사실 내가 유대인으로 태어나겠다고 결정한 것은 전혀 아닙니다. 그냥 태어나보니 유대인이었고, 민족 대대로 살아온 땅이 아니라 이방인들이 사는 지역의 유대인 정착촌이었습니다. 사실 우리 유대 민족은 대대로 살아온 땅이 없습니다. 왜냐하면 우리의 조상 아브라함은 갈대아인의 우르에서 살았습니다. 아브라함은 아버지 데라를 따라서 하란으로 이주하였다가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고 정처 없이 약속의 땅을 향해 기나긴 여행을 했습니다. 하지만, 아브라함은 25년 만에 약속의 땅인 가나안에 도착했지만 그곳에 정착하지 못하고 애굽으로 내려가기도 했습니다. 그 이후에 족장들 역시 정착하지 못하고서 가나안 땅 언저리에서 유목민 생활을 했습니다. 이렇게 유목민 생활에서 야곱의 아들이었던 요셉이 애굽으로 종으로 팔려가게 되었습니다. 가나안 땅에 흉년으로 인하여 야곱의 온 가족이 애굽으로 이주하여 430년 간 정착하였습니다. 그렇게 살아가던 그들이 요셉을 알지 못하는 왕이 일어나 200여 년간 학대를 당하였습니다. 이렇게 오랜 학대로 인해 우리의 선조들은 하나님께 부르짖었습니다. 

 마침 그때 레위 지파에 모세가 태어났는데, 하나님은 그를 통해서 10가지 재앙과 홍해를 가르심으로 히브리인들을 출애굽시키셨습니다. 그리고 40년간 광야생활을 마치고 여호수아의 지도 아래 가나안 땅에 정착하였습니다. 잠시 동안 다윗 왕과 솔로몬 왕 시대에는 나라의 기틀이 세워지고 안정과 풍요를 누릴 수 있었지만, 르호보암 이후에 북이스라엘과 남유다로 갈라져서 수많은 역사의 부침을 겪는 가운데 B.C. 722년에 북이스라엘은 앗수르에 의해서 멸망당하였고, B.C. 586년에 바벨론에 의해 남유다는 멸망당했습니다. 이로 인해서 우리 조상들은 다시 정처없는 떠돌이 생활을 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하나님의 약속을 다라 남유다 백성은 70년간의 포로생활을 마치고 예루살렘에 잠시 돌아왔지만, 여기저기 흩어져 떠돌이 생활을 할 수 밖에 없는 역사의 소용돌이 한 가운데 있게 되었습니다. 

 사실, 나는 우리 부모가 어떻게 해서 이곳 다소라는 곳에 정착했는지 알지 못합니다. 생존을 위해서 이곳에 정착하였다는 것뿐입니다. 비록 이곳이 내가 태어나고 자란 곳이기는 하지만, 그곳에서도 영원히 이방인처럼 살았습니다. 다소는 이방인의 모습으로 살아가더라도 그리 불편함이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내가 태어나 자란 곳인 다소라는 곳은 당시에 대학과 상업, 행정의 수도로서 매우 헬라적인 문화권이었습니다. 또한 다소는 동서양이 만나는 무역이 활발하고 문화가 융합하는 곳이었습니다. 

 지금도 남미와 같은 곳은 이민자들의 나라이기에 유대인의 전통과 종교를 그대로 지키고 살아가도 아무런 해를 입지 않습니다. 또한 수많은 민족들이 정착해 살면서 자신들만의 고유 언어와 문화를 그대로 지키면서 남미문화와 조화를 이루면서 살아갑니다. 이렇게 할 수 있는 이유는 수많은 민족과 문화가 섞여 있기 때문입니다. 그처럼 내가 태어난 다소도 당시의 로마문화로 인해서 수많은 민족과 문화가 섞여 있었기 때문에 유대인으로 사는 것이 결코 불편하거나 위협받을 상황은 아니었습니다. 

 

 Eu nasci judeu. Minha terra natal é Tarso, um assentamento de migrantes judeus. Não é a terra onde nosso povo tem vivido por gerações, é um assentamento judaico em um território estrangeiro. Na verdade, nós judeus não temos uma terra onde pudemos viver por gerações. Nosso patriarca Abraão, viveu na cidade de Ur dos Caldeus.

 Nosso patriarca Abraão seguiu o seu pai Tera até a cidade de Harã e quando recebeu o chamado de Deus, partiu para uma longa viagem a terra de Canaã sem hesitar. Chegou à terra prometida, Canaã, após 25 anos. Mas, por causa da seca, desceu em direção ao Egito.

 Todos os chefes das tribos, que vieram depois de Abraão, também não conseguiram fixar-se em Canaã e viveram como nômades nas proximidades da terra prometida. No decorrer do tempo, José, filho de Jacó foi vendido como escravo e levado ao Egito. E após alguns anos, por causa da seca em Canaã, toda a família de Jacó migrou para Egito, ficando lá por 430 anos.

 Quando José faleceu e se levantou novo rei, que não o conhecera, fez os meus antepassados sofrerem maus-tratos por duzentos anos. Quando o sofrimento já não era mais suportável, eles clamaram ao Senhor.

 Justo em tempo, nasceu Moisés na casa de Levi. E através dele, Deus infligiu as dez pragas e operou o milagre da divisão das águas do Mar Vermelho, auxiliando o êxodo dos hebreus. Depois, nosso povo teve que vagar por 40 anos no deserto até chegarem a Canaã sob a liderança de Josué.

 Mesmo que tenha sido por pouco tempo, pudemos disfrutar da tranquilidade e abundância de uma nação nas eras dos reis Davi e Salomão. Mas, após reino de Roboão, com a cisma das tribos em Reino de Israel e Reino de Judá, e passadas as vicissitudes, Reino de Israel foi subjugado por assírios no ano de 722 a.C. e o Reino de Judá, por babilônios em 586 a.C.

 Novamente, nossos antepassados passaram a vagar por diversos territórios. As tribos do Reino de Judá retornaram a Jerusalém, após 70 anos de cativeiro, conforme a promessa de Deus, mas passamos a viver espalhados e sem um país em meio a roda-viva da história.

 Eu, sinceramente, não sei como os meus pais foram parar em Tarso. Só sei que vieram para cá para tentarem sobrevier. Eu nasci e cresci neste lugar. Mas, sempre vivi como um estrangeiro aqui. Tarso era um lugar onde não há nenhum problema para viver como um estrangeiro. Pois era uma cidade com forte característica cultural helênica, com presença de universidades e intensa atividade comercial e administrativa. Além disso, era um importante ponto de interligação entre Oriente e Ocidente, com intensas trocas comerciais e fusão cultural.

 Assim como a América Latina, nos dias de hoje, onde vivem diversas comunidades de estrangeiros. Os judeus podem viver mantendo as próprias crenças e tradições, sem sofrer perseguições. Pois é onde diversas etnias convivem harmonicamente, mantendo suas culturas e idiomas. Assim como em Tarso, uma das províncias romanas onde nasci. Local de convivência de diversas etnias e culturas. Por isso, nós judeus vivíamos em relativa tranquilidade e sem sofrermos ameaças.

 

PR. SEOK HYUN SHIM

Traduação : Su Jeong Ki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ammicj@hanmail.net
"남미복음신문" 브라질 유일 한인 기독교 신문(nammicj.net) - copyright ⓒ 남미복음신문.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댓글달기
  • 많이본기사
  • 화제의 뉴스

화제의 포토

화제의 포토더보기
설교하는 이영훈 목사

  • 회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기사제보
  • 정기구독신청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
  • 남미복음신문(http://nammicj.net) | 창간일 : 2005년 12월 2| 발행인 : 박주성 
    주소 : Rua Guarani, 266 1°andar-Bom Retiro, São Paulo, SP, BRASIL
    기사제보 및 문서선교후원, 광고문의(박주성) : (55-11) 99955-9846 nammicj@hanmail.net
    Copyright ⓒ 2005-2024 nammicj.net All right reserved.
    남미복음신문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